갑상선결절갑상선 세포가 증식해 혹을 만드는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합니다.
성인의 5% 정도가 발병하며 그 중 10% 빈도로 갑상선암으로 진단 됩니다.
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 발병이 3배 정도 높습니다.

갑상선 결절 증상갑상선 결절은 대부분 양성 결절로 세포들이 뭉치거나 조직액 등이 고여 발생한 물혹인 경우가 많습니다.
암과는 달라 통증이나 큰 증상이 없고 불편함이 없다면 따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.

갑상선 결절 진단˙검사
혈액을 채취하여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확인하는 검사이며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지 않는 갑상선 결절의 경우 정상으로 나타납니다.

만져지는 종괴나 불편함이 있을 경우 갑상선의 크기나 모양을 관찰할 수 있으며, 갑상선 결절 유무 및 결절의 악성, 양성의 여부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.

주사기로 갑상선 결절에서 세포를 흡인하여 관찰하는 방법으로 빠르고 간단하며 종양의 악성˙양성 여부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갑상선 암인 경우 림프절의 전이 여부, 주위 조직의 침범 여부,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합니다.
갑상선 결절 치료
결절이 양성인 경우는 수술을 하지 않습니다.
다만 6~12개월마다 진찰과 초음파검사 등으로 정기적으로 관찰합니다.
변화가 있는 경우 조직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

악성 진단 시 수술로 제거합니다.
수술의 범위 및 방법은 다양합니다.

우리나라에선 매우 드문 경우로 암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.
결절과 동반되는 갑상선 기능 하진의 치료 목적으로 동위원소 요오드(Lodine) 치료도 가합니다.
장바로내과가 함께합니다.





